맨위로가기

그리스도의 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도의 교회는 독립적인 기독교 교회로, "그리스도의 교회" 또는 "그리스도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지역 교회는 일반적으로 "[도시 이름] 그리스도의 교회"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말 미국에서 악기 사용과 선교회 운영에 대한 이견으로 무악기파와 유악기파로 분리되었으며, 20세기에는 자유주의 신학 수용, 에큐메니컬 운동, 열린 회원 자격 등을 둘러싸고 분열을 겪었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성경의 영감, 지역 교회의 자치를 믿으며, 죄 사함을 위해 침례를 행하고, 매주 첫날 성찬을 거행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성경 대학과 신학교를 지원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환원 운동의 영향을 받아 무악기파와 유악기파로 나뉘어 활동하고 있다.

2. 명칭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명칭은 신약성경의 마태복음 16장 18절과 로마서 16장 16절에 근거한다.[3] 개별 교회는 일반적으로 "''[도시 이름]'' 그리스도의 교회"와 같이 지리적 명칭을 사용한다.[3]

최근에는 "''[도시 이름]'' 지역 사회 그리스도의 교회"와 같이 좀 더 일반적인 명칭을 사용하는 경향도 있다.[3] 재건 운동 외의 교회에서도 유사한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므로(그리스도 교회 (동음이의) 참조), 개별 교회의 이름만으로는 소속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3]

3. 역사

환원 운동(Restoration Movement)의 영향을 받은 교회들은 한국에서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들은 주의 만찬과 침례에 대한 입장은 유사하지만, 교리와 실행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크게 무악기파와 유악기파로 구분된다.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무악기)는 1930년대 동석기 전도자와 강명석 전도자에 의해 전래되었다.[1] 현재 전국에 140여 개의 교회가 있으며, KC대학교와 등촌중학교가 관련 교육기관이다.

그리스도인 교회(유악기) 관련 교육기관으로는 서울기독대학교와 대전의 한성신학교가 있다.

1990년대에는 미국 보스턴 지역에서 시작된 제자 운동의 결과로 국제그리스도의교회 지교회들이 대도시 중심으로 세워졌다. "연합그리스도의교회", "후기성도그리스도의교회"는 이름은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뿌리와 성격을 가진 단체이다.

3. 1. 분열

미국에서 시작된 환원 운동은 신약 교회를 회복하려는 움직임이었으나, 19세기 말부터 교회 운영 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분열이 시작되었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예배 시 악기 사용을 반대했고, 그리스도인 교회는 악기 사용을 허용했다.[1] 1906년 미국 종교 연감에는 이 두 교회가 별개의 단체로 기록되었다.[1]

이후, 그리스도인 교회 내에서도 신학적 견해 차이로 분열이 발생했다. 보수적인 교회들은 북미 기독교 컨벤션을 조직하고, ''크리스찬 스탠다드''를 통해 결속을 다졌다.[1] 반면, 진보적인 교회들은 자유주의 신학을 수용하고 에큐메니컬 운동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1] 1960년대에는 크리스찬 선교 펠로우십과 같은 선교 단체들이 국제 선교를 위해 활동했다.[1]

그리스도인 교회(그리스도의 제자)와 독립 기독교 교회/그리스도의 교회 사이의 분리는 1926년부터 1971년 사이에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26년북미 기독교 컨벤션(NACC) 첫 개최[4]
1944년제자들의 국제 컨벤션, 열린 회원 자격 지지자 회장 선출[4]
1948년분열 방지 위한 재연구 위원회 해산[4]
1955년"독립교회"만 수록된 사역자 명부 첫 발간[4]
1968년독립 교회 삭제된 제자 연감 최종 개정[4]
1971년독립 교회, 미국 및 캐나다 교회 연감에 별도 등재[4]


3. 2.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

한국에서는 환원 운동의 영향을 받은 모든 교회들이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고, 무악기파와 유악기파로 구별되기도 하지만, 주의 만찬과 침례에 대한 입장이 유사할 뿐, 상당한 교리적, 실행적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무악기)의 역사는 1930년대 동석기 전도자와 강명석 전도자에 의하여 전래된 후 현재까지 140여 개 교회가 전국에 세워져 있으며 관련된 교육기관으로는 서울시 강서구의 KC대학교, 등촌중학교가 있다.

그리스도인 교회(유악기)와 관련된 교육기관은 서울기독대학교와 대전의 한성신학교가 있다.

그 외에 1990년대에 미국 보스톤 지역에서 시작된 제자 운동의 결과로 세워진 국제그리스도의교회의 지교회들도 대도시 중심으로 세워져 있다. "연합그리스도의교회", "후기성도그리스도의교회"는 이름은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뿌리와 성격을 가진 단체이다.

4. 특징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명칭은 신약성경의 마태복음 16장 18절과 로마서 16장 16절에 근거한 것이며, 성경의 권위를 절대적으로 인정하여 신약 교회의 예배, 조직, 가르침을 회복하는 환원 운동을 하고 있다.[1] "성경이 말하는 곳에서 우리도 말하고, 성경이 침묵하는 곳에서 우리도 침묵한다"는 모토를 가지고 있으며, 성경에 기록되지 않은 인위적 신조나 전통을 거부한다.[1] 침례만을 성경적인 세례의 방식으로 받아들이고, 개체 교회 이상의 어떠한 상위 조직의 권위도 부인한다. 매 주일마다 주의 만찬을 행하며, 교회의 일치를 중요시하지만 성경에 기초하지 않은 교회 연합 운동은 반대한다. 악기 반주를 사용하지 않는 아카펠라 찬양으로 예배하며, 교역자의 명칭은 '전도자'나 '설교자'를 사용하고 있다. 복수의 남성 장로들과 집사들 만을 성경적인 교회 조직으로 인정하고, 형제, 그리스도인이란 명칭의 사용을 권장하지만, 한국에서는 타 기독교 교파의 영향을 받아, 교회마다 다양한 실행적 차이가 있다.

4. 1. 신념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주 되심, 성경의 영감, 그리고 지역 교회의 자치를 믿는다.[1] '재건 운동'의 기본 원칙에 따라, 죄 사함을 위해 그리스도 안에서 믿는 자의 침례를 받아들이고 가르친다.[1] 예배의 일부인 성찬에 대한 성경의 예나 추론을 따라, 한 주의 첫째 날에 예배를 드린다.[1] 예배에는 회중의 무반주 찬송가, 기도, 자발적인 금전적 헌금 (지역 교인으로부터), 복음 설교와 다른 성경 기반 주제들이 포함된다.[1] 신적인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순종, 그리고 성경, 특히 신약 성경을 믿음과 실천의 모든 충분한 규칙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모든 신자들의 연합을 추구한다.[1]

4. 2. 신조와 구호


  • "성경이 말하는 곳에서 우리도 말하고, 성경이 침묵하는 곳에서 우리도 침묵한다."[1]
  • "본질에는 일치, 의견에는 자유, 모든 것에는 사랑."[1]
  • "그리스도 외에 다른 신조는 없고, 성경 외에 다른 책은 없다."[1]

5. 교육 기관

한국에서는 환원 운동의 영향을 받은 교회들이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KC대학교, 등촌중학교, 서울기독대학교, 한성신학교 등이 관련된 교육 기관이다. 해외에서는 Churches of Christ영어가 다양한 성경 대학과 신학교를 지원한다.

'''인도'''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인도 기독교 성경 대학케랄라 주, 남인도1980



'''캐나다'''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앨버타 성경 대학캘거리, 앨버타 주1932
해양 기독교 대학샬럿타운,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주1960



'''필리핀'''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마닐라 국제 기독교 대학필리핀 리잘 주 안티폴로 시 산호세2005
마닐라 성경 신학교필리핀 케손 시 노발리체스 바랑가이 산 바르톨로메 파블로 오캄포 스트리트1926
필리핀 사역 대학필리핀 벵게트 주 라 트리니다드 람탕1991



'''미국'''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보이시 성경 대학아이다호 주 보이시1945
부시넬 대학교 (구 노스웨스트 기독교 대학교)오리건 주 유진1895
댈러스 기독교 대학텍사스 주 댈러스1950
존슨 대학교테네시 주 녹스빌1893
켄터키 기독교 대학교켄터키 주 그레이슨1919



'''폐교'''


  • 퓨젯 사운드 기독교 대학 (1950년 개교, 2007년 폐교)[7]
  • 신시내티 기독교 대학교 (1924년 개교, 2019년 폐교)
  • 링컨 기독교 대학교 (2024년 5월 31일 폐교 예정)[8]

5. 1. 한국

한국에서는 환원 운동의 영향을 받은 모든 교회들이 "그리스도의 교회"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고, 무악기 파, 유악기 파로 구별되기도 하지만, 주의 만찬과 침례에 대한 입장이 유사할 뿐, 상당한 교리적, 실행적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무악기, The churches of Christ)의 역사는 1930년대 동석기 전도자와 강명석 전도자에 의하여 전래된 후 현재까지 140여 개 교회가 전국에 세워져 있으며 관련된 교육기관으로는 서울시 강서구의 KC대학교, 등촌중학교가 있다. 그리스도인 교회(유악기, The Christian churches)와 관련된 교육기관은 서울기독대학교와 대전의 한성신학교가 있다.

그 외에 1990년대에 미국 보스톤 지역에서 시작된 제자 운동의 결과로 세워진 국제그리스도의 교회의 지교회들도 대도시 중심으로 세워져 있다. "연합그리스도의 교회", "후기성도그리스도의 교회"는 이름은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뿌리와 성격을 가진 단체이다.

5. 2. 해외

Churches of Christ영어는 다양한 성경 대학과 신학교를 지원한다. 이 운동에는 공식적인 "교파" 구조가 없기 때문에, 지역 대학은 종종 정보 센터 역할을 하며 지역 교회가 서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인도'''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인도 기독교 성경 대학케랄라 주, 남인도1980



'''캐나다'''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앨버타 성경 대학캘거리, 앨버타 주1932
해양 기독교 대학샬럿타운,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주1960



'''필리핀'''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마닐라 국제 기독교 대학필리핀 리잘 주 안티폴로 시 산호세2005
마닐라 성경 신학교필리핀 케손 시 노발리체스 바랑가이 산 바르톨로메 파블로 오캄포 스트리트1926
필리핀 사역 대학필리핀 벵게트 주 라 트리니다드 람탕1991



'''미국'''

대학 및 신학교위치설립 연도
보이시 성경 대학아이다호 주 보이시1945
부시넬 대학교 (구 노스웨스트 기독교 대학교)오리건 주 유진1895
댈러스 기독교 대학텍사스 주 댈러스1950
존슨 대학교테네시 주 녹스빌1893
켄터키 기독교 대학교켄터키 주 그레이슨1919



'''폐교'''


  • 퓨젯 사운드 기독교 대학, 1950년에 개교했지만 2007년에 폐교.[7]
  • 신시내티 기독교 대학교, 1924년에 개교했지만 2019년에 폐교.
  • 2023년 10월, 링컨 기독교 대학교는 2024년 5월 31일에 폐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

6. 논란

한국에서는 환원 운동의 영향을 받은 모든 교회들이 "그리스도의교회"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무악기 파와 유악기 파로 구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은 주의 만찬과 침례에 대한 입장은 유사하지만, 교리와 실행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1]

연합그리스도의교회와 후기성도그리스도의교회는 명칭은 유사하지만, 그 뿌리와 성격이 전혀 다른 단체이다.[1]

참조

[1] 서적 Protestant Reforma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2] 웹사이트 Groups - Religious Profiles https://www.thearda.[...] 2024-01-04
[3] 문서 The naming practice is taken as applied doctrine from Paul the Apostle's use of city names in writing epistles to "the church which is at Corinth" or "the church at Thessalonica" etc.
[4] 웹사이트 Educacion https://www.colegiob[...]
[5] 웹사이트 louisvillebiblecollege.org http://www.louisvill[...]
[6] 웹사이트 NORTHWEST COLLEGE OF THE BIBLE http://ncbible.org/
[7] 웹사이트 Puget Sound Christian College https://web.archive.[...] 2019-07-01
[8] 웹사이트 Lincoln Christian University to close in May https://www.higher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